2020 FALL
-
2020 Colloquium - Prof. Sukchan Lee (Oct 29) talks about "An Emerging Threat of Asian Geminivirus disease Complexes"
-
2020 Colloquium - Prof. Kijung Hong (Nov 12) talks about "Invasive Insect Pests"
-
2020 Colloquium - Prof. JeMin Lee(Nov 27) talks about "Toward Identifying Hidden Genetic Regulation Underlying Fruit Ripening and Important Traits in Solanaceae" on Zoom
-
2020 Colloquium-Prof. Young-Sig Kwak(Dec 17) talks about "Microbe- Insect Mutualism" on Zoom
-
Time : 28 Jan 2021
Title: Microbial Genomics and Metagenomics for Plant Health and Disease
Presenter: Kim, Jihyun (Yonsei University)
Genomes have been rapidly advanced in last 20 years since human genome project. Genome technologies allow the plant pathologists to study plants and environment affecting plant diseases in microbiome level. When we comes to microbiome, it includes microbiota and metagenome. Thus the exploration of genetic components in multi-levels unravels mysterious phenomena in the functional interactions of plants and plant diseases. Especially, Kim’s lab explored a plant disease resistance in this microbiome and discovered an unknown bacterium named Flavobactera sp. TRG1. The presence of this bacterial colony makes the tomato plant to be resistant to diseases. This discovery is published in a world top ranked journal, Nature Biotechnology. We learned current advances of microbiome from his lecture and has scientific challenges to use this genomic approach to our own sciences.
-
Time : 25 Feb 2021
Title : Insect Population Modeling
복숭심식나방과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이야기이다. 복숭아심식나방의 예찰 모델링에서 일어나는 다양성으로 기주에 따른 발생 변이가 주 의제였다. 솔수염하늘소의 경우는 유충 탈피와 변태에 대한 이야기를 임계몸크기로 해석하는 것이다.JH의 체내 함량이 없어지면 변태로 들어간다. 따라서 200 미터 집단의 4령은 JH가 존재하고 높은 고도의 개체들은 JH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JH 측정은 쉽지 않고 분석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호르몬의 최종 합성 효소인 JH acid methyl transferase (JHAMT)의 발현량을 분석하면 거의 정확하게 알수 있다. 이 유전자의 발현량은 qPCR로 가능하다. 또한 역으로 증명하기 위해 높은 지역의 개체들에 대해서 JH 처리하면 다시 5령으로 발육하리라 본다.하늘소류의 제자리 탈피는 아마도 휴면상태로 여겨집니다. 이들이 자신의 변태로 임계체충을 피하기 위해 탈피를 거듭하리라 보여진다. 이 경우에는 아마도 JHAMT 발현량을 조사해야 합니다. 또는 임계체중이 다달았지만 JH esterase (JHE)의 효소활성 및 발현량이 낮으면 JH를 분해를 하지 못해 남은 JH에 의해 변태 신호를 가동하지 않고 반복 탈피가 지속될 수 있다.4령 또는 5령이 휴면태라면 4령 또는 5령을 통해 임계체중을 민들어 놓고 전흉샘의 활성을 기다리고 있다. 전흉샘의 활성은 일반적으로 저온 처리에 의해 재활성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대뇌의 명령인데 일부 생리학자(David Denlinger)는 메탄올을 처리하면서 대뇌의 휴면 종료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기술도 있다.
2021 SPRING
-
2021. 04. 08 15시 자연2호관 508
정진교 박사님 특강
주제 : 곤충 화학생태학 연구 사례
2021. 05. 13 15시 자연2호관 508
이 관 석 박사님 특강
주제 : 생물체의 분류
2021. 06. 10 15시 자연2호관 508
김 일 환 박사님 특강
주제 : 미생물 공학에 관하여
2021 FALL
-
2021. 09.09
김국형 교수님 : 콩과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병리에 대한 분자적 연구
-
2021. 09. 16
최재영박사님 : 식물 및 미생물의 자원으로 부터 탐색된 곤충 유충 호르몬의 신규 친환경 살충제로써의 이용 가능성
-
2021.09.23 ZOOM
정의환교수님 : Arms race during plant-pathogen interplay
-
2021.10.01
조용훈 박사님 : 밀웜 모델을 활용한 host-pathogen interaction 과정에 Imd 신호전달을 통해 생산되는 항균펩타이드(AMPs, antimicrobial peptides)의 조절 기작의 이해